이더리움과 스마트 계약: 더 똑똑한 블록체인
비트코인이 ‘디지털 금’이라면, 이더리움은 ‘디지털 앱 스토어’라고 할 수 있습니다.
비트코인이 ‘가치 저장’에 초점을 뒀다면, 이더리움은 ‘활용’에 집중했죠.
📌 이더리움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?
이더리움은 2015년, 캐나다의 개발자 비탈릭 부테린(Vitalik Buterin)에 의해 탄생했습니다.
그는 비트코인의 한계—‘돈만 보낼 수 있다’는 점—를 극복하고 싶었죠.
그래서 그는 ‘돈을 주고받는 것 이상’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했습니다.
그 결과가 바로 ‘스마트 계약(Smart Contract)’입니다.
🔐 스마트 계약이란?
스마트 계약은 사람의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실행되는 디지털 계약입니다.
- 예: “A가 B에게 1ETH를 보냈을 때, B는 자동으로 NFT를 전달”
- 중개인이 없어도 신뢰할 수 있는 거래가 가능해짐
⚙️ 스마트 계약은 어떻게 작동할까?
이더리움은 ‘조건부 명령문’을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집니다.
이 말은,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거래 조건을 직접 작성할 수 있다는 뜻이죠.
이런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졌습니다:
- 탈중앙화 거래소 (DEX)
- DeFi (탈중앙화 금융)
- NFT 플랫폼
- DAO(탈중앙화 자율조직)
🔍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차이
항목 | 비트코인 | 이더리움 |
---|---|---|
출시연도 | 2009년 | 2015년 |
주요 목적 | 디지털 화폐 | 플랫폼 + 계약 실행 |
총 발행량 | 21,000,000 BTC | 무제한 (인플레이션 조절) |
스마트 계약 | 불가능 | 가능 |
💬 마무리하며
이더리움은 단순한 화폐가 아니라 플랫폼입니다.
스마트 계약을 통해 블록체인을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시킨 이더리움은,
가상화폐가 단지 ‘돈’이 아닌 ‘기능’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죠.
👉 다음 글에서는 다양한 코인들을 비교하며, 어떤 ‘알트코인’이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📘 다음 글 보기:
👉 5편 – 알트코인이란? 비트코인 외의 가상화폐들 한눈에 정리
© 매일이슈 블로그 – 디지털 자산을 쉽게 배우는 공간